생존율 4배 차이…암 걸렸다면 ‘이것’ 꼭 챙기세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jbegnbkh 댓글 0건 조회 5회 작성일 25-08-20 21:00관련링크
본문
말기 암 환자의 생존율이 삶에 대한 대처 방식과 심리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한국외대 합동 연구팀이 남은 생존 기간이 1년 이내로 예측된 암 환자 144명을 추적 관찰한 결과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지 못한 채 우울증에 걸리면 사망 위험이 크게 높아졌다.
해당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BMC 정신의학(BMC Psychiatry)’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삶에 얼마나 긍정적으로 대처하는지에 따라 환자들을 두 집단으로 나눴다.
긍정적 대처란 환자가 위기 상황에서 감정적으로 무너지지 않고 삶의 방향을 주체적으로 재정비하는 행동을 보이는 경우를 칭한다. 부정적 감정을 긍정적 의미로 재해석해 수용하고, 문제에 직면했을 때 적극적으로 해결 방안을 모색·실천할 때 높다고 평가된다.
긍정적 대처 수준이 낮은 환자들의 1년 후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우울증을 동반한 환자는 우울증이 없는 환자들에 비해 사망 위험이 4.63배 높았다.
반면 긍정적 대처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우울증 유무에 따른 생존율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즉 환자가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경우에는 우울증이 있어도 사망 위험이 유의미하게 높아지지 않는 반면, 긍정적 대처 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우울증이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연구진은 암 환자의 긍정적 대처 수준에 따라 생존율에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를 설명하기도 했다.
먼저 환자의 부정적인 태도는 간병인의 스트레스와 기능 저하를 초래해 말기 환자에게 제공되는 돌봄의 질을 떨어뜨린다.
둘째, 희망을 잃은 환자들은 무력감을 느끼고 질병에 대한 불안을 호소한다. 실제로 절망감은 말기 암 환자의 4년 이내 사망률을 예측하는 지표로 활용되기도 한다.
아울러 연구진은 가족, 친구, 의료진으로부터 사회적 지지가 부족하면 환자의 존엄성이 낮아져 생존율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말기 암 환자를 치료할 때 심리적 회복력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연구를 이끈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윤제연 교수는 “우울 수준과 대처 전략을 함께 평가하고 개선하는 정신건강 중재가 환자의 생존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결과”라고 말했다.
“우울증, ‘키스’로 전염 가능성” 과학적 근거 나왔다
[오늘의 운세] 2025년 6월 28일
[오늘의 운세] 2025년 5월 15일
지방간 치료, 핵심은 ‘금식’…‘이 시간대’만 음식 피하세요
[오늘의 운세] 2025년 3월 10일
“다이소 화장품 5천원? 여긴 더 싸요”…초저가 전쟁 불붙인 ‘이곳’
“헉, 발밑으로 한강 물이”…서울시가 추천한 ‘피서 명소’ 정체
6m3wnv
- 이전글찐따 풀발 정보 궁금하셨던 분들을 위한 사이트 보러가기! 25.08.20
- 다음글광명 남자 풀발 평균 - 풀발 텀블러 - 중발 풀발 차이 25.08.2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